interview

"가디원 터보가 대형회전기기의 Downtime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PRODUCT Team

장범찬 PM

Interview


대형회전기기를 관리하시는 분들이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터빈, 압축기, 팬 등 대형회전기기를 더욱 스마트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 ‘가디원 터보’를 제공하는 저희 원프레딕트는 고객사의 Pain point를 찾기 위해 항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답니다.

특히 가디원 터보를 담당하는 PM(Project Manager)으로서 누구보다 치열하게 고민하고 있을 원프레딕트 장범찬 PM과 대화를 나눠봤습니다.


Q. 회사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고, 이를 위해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 장범찬 PM을 소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원프레딕트 프로덕트팀에서 가디원 터보를 담당하고 있는 PM 장범찬입니다. 
저는 석사 과정을 밟으면서 회전설비 진단, ICT/AI 기술을 접목한 회전 설비 모니터링 기술 등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했습니다. 
그 덕분에 원프레딕트와 인연을 맺게 되었고, 현재 가디원 터보의 PM으로서 A-Z까지 담당하고 있어요.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알고리즘 개발, DB schema 구조 작업, Deploy 등 전반을 다 다루고 있습니다.
Q. 가디원 터보 제품의 기획자이자 관리자로서, 가디원 터보의 고객에 대해 가장 많이 고민하는 역할일 것 같아요. 가디원 터보의 (잠재)고객사는 주로 어떤 고민을 하고, 어떤 문제를 해소하고 싶어하시나요? 

공장에서 설비를 관리하는 고객분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설비 고장으로 인한 Downtime’입니다. 이 Downtime을 어떻게 최소화할 수 있는지가 굉장히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설비에 문제가 생기면 필연적으로 Downtime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기계와 설비가 가동을 멈춤으로써 생산이 중단되면 납기 지연, 수리 및 유지보수 비용 발생, 리소스 낭비, 직원들의 초과근무 등 여러가지 문제가 연쇄적으로 일어나 그 피해가 매우 큽니다.
가디원 터보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해드리고자, Root cause, Recommended action을 지원함으로써 고객의 빠른 의사결정을 돕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운영사에서 운전데이터와 진동데이터를 수집하는 소프트웨어가 다르다는 점 때문에 데이터를 통합하여 모니터링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가디원 터보는 운전데이터와 진동데이터를 통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동 발생의 원인까지 분석함으로써 빠른 의사결정을 돕고 이에 따라 Downtime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Q. 그렇다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가디원 터보의 진단 정확도일 것 같아요. 이를 입증해줄 수 있는 수치나 근거자료가 있을까요?

2018년 P사에서 솔루션을 도입하기 전에 기술 검증을 진행했는데요, P사가 보유하고 있는 진동데이터 100세트를 받아서 알고리즘 정확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92%의 정답률을 인정받았습니다. 이런 높은 정답률 덕분에 P사가 가디원 터보를 도입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죠.
Q. 92%면 정말 높은 정답률이네요. 포스코 외에도 현재 가디원 터보를 이용하고 있는 고객사를 소개해주세요.

냉난방, 전력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GS 파워는 저희 가디원 솔루션을 두루두루 도입해 사용하고 있는 고객사입니다. 현재 가디원 터보가 GS 파워 안양 열병합발전소에 설치되어 있고, 곧 부천에도 설치될 예정입니다. 또 GS 칼텍스의 여수 공장 24개 설비에도 가디원 터보가 세팅되어 있고, 2025년에는 추가로 13대가 더 설치될 예정입니다. 그 밖에도 한국중부발전 등 공공발전사에서도 가디원 터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GS 파워에서는 일전에 가스 터빈에서 트립이 발생한 적이 있었는데요, 이에 대한 원인규명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에서 가디원 터보가 활약했습니다. 가디원 터보는 트립 직전까지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2번 베어링 부근의 Rubbing’에 대한 진단을 내려 진단보고서를 출력했고, 덕분에 트립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었습니다.
더 많은 도입사례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Q. 여기까지 보시고 좀 더 가디원 터보에 관심이 생긴 분들도 계실 것 같아요. 가디원 터보 도입 전 데모에 대한 문의가 선행될텐데요, 데모를 사용해보기 위해 필요한 사항은 무엇이 있고 도입에 걸리는 시간은 어느 정도일까요?

우선, 가디원 터보를 Demo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진동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인 waveform, shaft centerline, 1x amplitude/phase, 그 외 설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운전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해당 데이터를 저희에게 제공해주시면, 공유해주신 데이터가 적용된 가디원 터보를 Demo로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Demo를 통해 진동 특성 데이터 비교 분석, 트렌드 분석 등을 경험해보실 수 있으며, 진단보고서도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다소 편차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작업기간은 2-3주 정도 소요되며, 이후 도입을 결정하실 경우 1-2주일 정도 delivery 시간이 필요합니다.
Q. 마지막으로 가디원 터보는 이런 회사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어떤 회사들에게 추천하는지 말씀해주세요.

아무래도 발전소 및 석유화학 공장에서 가디원 터보가 가장 빛을 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민간 발전소의 경우 전문원들이 상시 대기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렇다보니 trip 발생 시 원인을 파악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편입니다.
가디원 터보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정리한 진단 보고서를 제공하는데, 설비 진단 보고서에는 고장모드별 위험도, 진단모델 판단 근거, 관련 tag list, 추천 조치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어 빠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줍니다.
물론, 전문원이 상시 대기하시는 경우에도, 가디원 터보가 제공하는 15종 고장모드 진단과 설비 상세 진단보고서, 3D 오빗 분석 기능 등이 설비관리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궁극적으로 가디원 터보는 Downtime을 최소화하고 공장 전체의 생산성과 안전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원프레딕트의 가디원 터보를 기획하는 장범찬 PM의 스토리, 어떠셨나요?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한 현장을 위해 원프레딕트가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대형회전기기 관리에 있어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원프레딕트의 문을 두드려주세요.






(주) 원프레딕트    대표이사. 윤병동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125길 4 중건빌딩 

4200 San Jacinto St, Houston, TX 77004



tel. 02-884-1664

e-mail. contact@onepredict.com
© 2025 ONEPREDICT Co.,Ltd.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처리방침   공고


onepredict tech blog...linked in...youtube...onepredict blog





(주) 원프레딕트 대표이사. 윤병동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125길 4 중건빌딩 

4200 San Jacinto St, Houston, TX 77004 


tel. 02-884-1664     e-mail. contact@onepredict.com
© 2025 ONEPREDICT Co.,Ltd.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처리방침   공고


onepredict tech blog...linked in...youtube...onepredict blog


 company                     guardione® solution                  contents 


 about us                          pdx                                                               newsletter


 project                            turbo                                                           webinar


 news                                 substation                                              tech blog


                                               mo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