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용 인공지능(AI) 스타트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25%로, 산업에서 제조업 비중이 높은 한국으로선 국내 제조업 역량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스타트업 가운데 산업용 AI 분야에서 투자액을 100억원 이상 받은 곳은 아이브(100억원·불량품 검사), 마키나락스(120억원·산업 이상 탐지 및 최적화), 가우스랩스(640억원·반도체 분야), 원프레딕트(490억원·에너지 분야) 등이다.
산업용 AI란 제조업 분야에 AI를 접목해 생산성을 늘리는 것으로, 크게 '이상 징후 예측 탐지(Early Detection)'와 '사후 판별(불량품 검사)' 두 분야로 나뉜다. 예측 탐지는 센서 모터 등을 활용해 공장 현장 내 온도, 소리, 압력, 진동 등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솔루션과 접목해 이뤄지는데, 보통 정확도가 70~90%대(산업별 요구 수준이 다름)에 이른다. 반면 사후 판별은 이미 만들어진 제품의 하자를 잡아내기 위해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해 AI가 불량품을 검사하는 것으로, 산업계에선 99% 정확도를 요구한다. '절대 강자'가 없다는 것이 산업용 AI의 특징이다. 각 산업에서 생산되는 비정형 데이터가 다 달라 '범용'으로 서비스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불량품 검사율 99%를 달성하며 이 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아이브의 성민수 대표는 "전기자동차 모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와 6관절 로봇 모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가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범용 AI보다는 산업별 특화 AI 형태로 업체들이 생기고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용 AI 기업 가운데 연 매출 2조원(900개 이상 기업 유치)을 달성해 뉴욕증권거래소 상장까지 성공한 미국 비바시스템스(Veeva Systems)도 제약·바이오 특화 AI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뉴스와이어에 따르면 산업용 AI 시장 규모는 2022년 31억달러(약 4조원)에서 2029년 583억달러(약 76조원)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산업용 AI를 AI 시대 핵심 수출 상품으로 육성하려면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업계는 △산업용 AI 전용 오픈 이노베이션 구축 △산업용 AI 솔루션에 대한 지식재산권·라이선싱 제도 도입 △산업용 AI 전용 공공데이터셋 구축 △산업용 AI 연구개발(R&D) 자금 및 지원 기간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을 키워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고 AI 주권을 지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산업용 인공지능(AI) 스타트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25%로, 산업에서 제조업 비중이 높은 한국으로선 국내 제조업 역량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스타트업 가운데 산업용 AI 분야에서 투자액을 100억원 이상 받은 곳은 아이브(100억원·불량품 검사), 마키나락스(120억원·산업 이상 탐지 및 최적화), 가우스랩스(640억원·반도체 분야), 원프레딕트(490억원·에너지 분야) 등이다.
산업용 AI란 제조업 분야에 AI를 접목해 생산성을 늘리는 것으로, 크게 '이상 징후 예측 탐지(Early Detection)'와 '사후 판별(불량품 검사)' 두 분야로 나뉜다. 예측 탐지는 센서 모터 등을 활용해 공장 현장 내 온도, 소리, 압력, 진동 등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솔루션과 접목해 이뤄지는데, 보통 정확도가 70~90%대(산업별 요구 수준이 다름)에 이른다. 반면 사후 판별은 이미 만들어진 제품의 하자를 잡아내기 위해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해 AI가 불량품을 검사하는 것으로, 산업계에선 99% 정확도를 요구한다. '절대 강자'가 없다는 것이 산업용 AI의 특징이다. 각 산업에서 생산되는 비정형 데이터가 다 달라 '범용'으로 서비스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불량품 검사율 99%를 달성하며 이 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아이브의 성민수 대표는 "전기자동차 모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와 6관절 로봇 모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가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범용 AI보다는 산업별 특화 AI 형태로 업체들이 생기고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용 AI 기업 가운데 연 매출 2조원(900개 이상 기업 유치)을 달성해 뉴욕증권거래소 상장까지 성공한 미국 비바시스템스(Veeva Systems)도 제약·바이오 특화 AI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뉴스와이어에 따르면 산업용 AI 시장 규모는 2022년 31억달러(약 4조원)에서 2029년 583억달러(약 76조원)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산업용 AI를 AI 시대 핵심 수출 상품으로 육성하려면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업계는 △산업용 AI 전용 오픈 이노베이션 구축 △산업용 AI 솔루션에 대한 지식재산권·라이선싱 제도 도입 △산업용 AI 전용 공공데이터셋 구축 △산업용 AI 연구개발(R&D) 자금 및 지원 기간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을 키워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고 AI 주권을 지켜야 한다는 지적이다.